나는 자연인이다
나는 자연인이다
by 권영상 작가 2018.05.03
청색 점퍼를 입은 사내가 산비탈을 파헤치고 있다. 무릎만치 파낸 흙 속에 칡뿌리가 보인다. 그를 찾아온 이의 목소리에 사내가 고개를 든다. 얼핏 보아 60줄의 남자다. 국방색 벙거지 모자를 쓴 얼굴에 주름이 깊다.
“뭐, 또 그 자연인이야?”
베란다에서 파 한 뿌리를 뽑아오던 아내가 텔레비전 앞을 지나며 한마디 한다. 응. 그렇게 대답하는 내 목소리에 감정이 실렸는지, ‘부러워서?’ 그런다. 나도 눈치쯤은 있다. 내 속을 감추기 위해 얼른 ‘저런 원시인 같은 사람도 있네’ 하고 보는 거지 뭐 한다.
도시에서만 살아 칡밖에 모른다는 사내는 산에서 6년을 살고 있다. 마흔 나이에 뇌졸중에 걸린 아내를 입원시키고, 입원비를 대기 위해 잘 나가던 전동기 부속품 납품 사업을 정리해갈 때 아내는 기어이 떠나고, 마지막으로 찾은 곳이 산이라 했다.
칡을 캐던 산기슭엔 그가 기거하는 비닐하우스가 있다. 추위를 막기 위해 검정 마포를 얹은 하우스 안은 생각보다 안온하다. 사업체를 정리할 때 가져온 캐비닛이며, 이제는 세상과 너무 멀어져 아무 소용도 없는 전화기, 몇 권의 책과 줄 하나가 끊어진 기타. 어설프게 만든 마루엔 담요가 포근하게 깔려있고, 아내를 살리기 위해 병원비를 빌리러 다니던, 이제는 예순일곱이 된 마흔 나이의 사내 사진이 놓여 있다.
곰보배추와 냉이를 캐어 무친 봄나물 반찬 하나와 된장찌개와 밥 한 그릇을 앞에 놓고 사내가 웃는다. ‘봄이 오고 있는 걸 느낄 수 있어서 행복해요’ 그런다. 그가 사는 이쪽 세상에서는 계절을 느끼는 일이 행복 축에 들지도 못한다.
고적한 산속, 보잘 것 없는 움막에 살고 있지만 그는 행복해 보인다. 집 둘레엔 자신이 좋아하는 명자나무를 심었고, 볼품없어 보이는 연못이지만 연못엔 물고기들이 봄 한낮처럼 유유히 놀고 있다. 사내는 산에서 떼어온 야생 난 한 포기를 조롱박에 구멍을 내고 심으며 ‘나를 위해 나만의 시간을 쓰고 있는 거예요’ 그러며 웃는다.
‘나는 자연인이다’는 뻔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자연인들의 삶 또한 사람만 다르지 그게 그거다. 잘 나가던 사람이 어느 날 닥쳐온 불행 앞에 좌절하다가 산을 찾는다. 산속 나물을 캐어 먹으며 닥쳐온 불행과 싸우면서 비로소 그게 행복이란 걸 알게 된다, 가족과 헤어져 살아야 하는 뜨거운 눈물도 빼지 않고 한 줌 보여준다. 그런 뻔한 이야기인데도 채널을 돌리다가 ‘자연인’을 만나면 끝날 때까지 본다.
외로운 사내의 삶이 그리워서다. 사내들에겐 ‘로빈슨 크루소’가 있다. 몸은 여기에 있지만 마음은 무인도에 가 있다. 자신을 극한에 던져넣어 보고 싶어 하는 심리가 사내들에게 있다. 죽을 게 뻔한 전쟁터로 총을 들고 달려가는 것도 바로 그런 심리 때문이다. 고생만 할 게 뻔한, ‘자연인’에 대한 그리움 또한 그렇다. 사내들은 그걸 얼토당토않게 고결하다고 믿는다.
자연인은 선물로 가져간 옷을 받아 입고, 그 답례로 소중히 간직한 나무열매 효소 한 병을 보검처럼 내놓는다. 그리고 찾아간 이와 오래 작별하는 아쉬움에 빠진다. 그런데 무슨 까닭일까. 그가 마치 내가 되기나 한 것 같은 착각에 빠지는 것은. 내 마음 어디에 눈물 한 방울 뚝 떨어지는 소리를 듣는다.
“뭐, 또 그 자연인이야?”
베란다에서 파 한 뿌리를 뽑아오던 아내가 텔레비전 앞을 지나며 한마디 한다. 응. 그렇게 대답하는 내 목소리에 감정이 실렸는지, ‘부러워서?’ 그런다. 나도 눈치쯤은 있다. 내 속을 감추기 위해 얼른 ‘저런 원시인 같은 사람도 있네’ 하고 보는 거지 뭐 한다.
도시에서만 살아 칡밖에 모른다는 사내는 산에서 6년을 살고 있다. 마흔 나이에 뇌졸중에 걸린 아내를 입원시키고, 입원비를 대기 위해 잘 나가던 전동기 부속품 납품 사업을 정리해갈 때 아내는 기어이 떠나고, 마지막으로 찾은 곳이 산이라 했다.
칡을 캐던 산기슭엔 그가 기거하는 비닐하우스가 있다. 추위를 막기 위해 검정 마포를 얹은 하우스 안은 생각보다 안온하다. 사업체를 정리할 때 가져온 캐비닛이며, 이제는 세상과 너무 멀어져 아무 소용도 없는 전화기, 몇 권의 책과 줄 하나가 끊어진 기타. 어설프게 만든 마루엔 담요가 포근하게 깔려있고, 아내를 살리기 위해 병원비를 빌리러 다니던, 이제는 예순일곱이 된 마흔 나이의 사내 사진이 놓여 있다.
곰보배추와 냉이를 캐어 무친 봄나물 반찬 하나와 된장찌개와 밥 한 그릇을 앞에 놓고 사내가 웃는다. ‘봄이 오고 있는 걸 느낄 수 있어서 행복해요’ 그런다. 그가 사는 이쪽 세상에서는 계절을 느끼는 일이 행복 축에 들지도 못한다.
고적한 산속, 보잘 것 없는 움막에 살고 있지만 그는 행복해 보인다. 집 둘레엔 자신이 좋아하는 명자나무를 심었고, 볼품없어 보이는 연못이지만 연못엔 물고기들이 봄 한낮처럼 유유히 놀고 있다. 사내는 산에서 떼어온 야생 난 한 포기를 조롱박에 구멍을 내고 심으며 ‘나를 위해 나만의 시간을 쓰고 있는 거예요’ 그러며 웃는다.
‘나는 자연인이다’는 뻔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자연인들의 삶 또한 사람만 다르지 그게 그거다. 잘 나가던 사람이 어느 날 닥쳐온 불행 앞에 좌절하다가 산을 찾는다. 산속 나물을 캐어 먹으며 닥쳐온 불행과 싸우면서 비로소 그게 행복이란 걸 알게 된다, 가족과 헤어져 살아야 하는 뜨거운 눈물도 빼지 않고 한 줌 보여준다. 그런 뻔한 이야기인데도 채널을 돌리다가 ‘자연인’을 만나면 끝날 때까지 본다.
외로운 사내의 삶이 그리워서다. 사내들에겐 ‘로빈슨 크루소’가 있다. 몸은 여기에 있지만 마음은 무인도에 가 있다. 자신을 극한에 던져넣어 보고 싶어 하는 심리가 사내들에게 있다. 죽을 게 뻔한 전쟁터로 총을 들고 달려가는 것도 바로 그런 심리 때문이다. 고생만 할 게 뻔한, ‘자연인’에 대한 그리움 또한 그렇다. 사내들은 그걸 얼토당토않게 고결하다고 믿는다.
자연인은 선물로 가져간 옷을 받아 입고, 그 답례로 소중히 간직한 나무열매 효소 한 병을 보검처럼 내놓는다. 그리고 찾아간 이와 오래 작별하는 아쉬움에 빠진다. 그런데 무슨 까닭일까. 그가 마치 내가 되기나 한 것 같은 착각에 빠지는 것은. 내 마음 어디에 눈물 한 방울 뚝 떨어지는 소리를 듣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