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마케팅
불안마케팅
by 이규섭 시인 2017.04.21
불안마케팅은 사람들의 불안을 자극하여 이득을 취하는 마케팅 기법 중 하나다. 불법이나 사기행위가 아니라는 전제가 붙어야 용인된다. 가령 ‘떴다방’이 노인들을 대상으로 허위 과장광고로 의료기의 효능을 속이고 건강 불안 심리를 자극하여 가격을 부풀리며 충동구매를 하게 만드는 건 사기행위다. 불안마케팅이 학부모와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할 때는 엄격한 기준과 도덕적 잣대가 필요하다.
최근 교육부와 한국인터넷광고재단이 공동으로 서울의 학원 밀집 지역의 입시와 보습학원을 점검한 결과 자유학기제를 이용한 광고와 선행학습을 부추기는 불안마케팅 광고를 한 학원을 무더기로 적발했다고 한다. ‘중1 성적이 대입을 좌우한다! 그러나 중1 자유학기제라 자기 성적을 모른다’, ‘자유학기제는 자유가 아니다’, ‘자유라는 말에 속아 1년을 헛되게 보내지 말자’ 등 자유학기제 기간에 지필고사가 없다는 점을 악용하여 불안감을 부추기는 광고를 했다는 것이다.
자유학기제는 지난해부터 전국 중학교에서 전면 시행되고 있다. 한 학기 동안 시험부담 없이 자신의 꿈과 끼를 찾는 진로탐색 기회를 가지게 한다는 취지다. 필자도 미디어 강사로 자유학기제 수업을 진행했지만 실효성에 의구심을 갖는다. 학부모 입장에서는 시험이 없으니 공부를 제대로 할지 불안하다. 그 심리를 교묘하게 파고든 것이 학원 불안마케팅이다.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광고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중학교 교육과정을 운영하거나, 중학생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운영한다는 내용이다. 강좌는 ‘초등영어’인데 학습 수준은 ‘고등학교 3학년∼수능 이상’으로 표시한 경우도 있다. 학부모들은 불안과 경쟁 심리를 자극한 광고에 흔들리기 십상이다.
학원 한쪽에서는 사교육과 선행학습을 부추기고 또 다른 학원에서는 선행학습의 부작용을 교정하고 있다. 우리 사회 사교육의 웃지 못할 현상이다. ‘키즈 스피치’ 학원에서는 화법(話法)을 가르치는 게 아니라 우리말 발음이나 어순을 교정시킨다고 한다. 영어유치원과 해외연수 등 영어를 자주 쓰는 환경에 노출되면서 정작 우리말을 제대로 못 하는 아이들이 등록한다.
"엄마, 나 먹었어. 밥을" 영어식 어순에 “지금 time 몇 시야” 영어 단어를 섞어 쓰는 게 예사라고 한다. 수업을 “슈업”으로, 라면을 “롸면”으로 발음한다니 모국어도 제대로 모르면서 영어를 배워 어쩌자는 것인가.
부모들은 지나친 사교육이 부적절하다는 것은 알고 있어도 “내 아이만 안 시키면 어쩌나” 불안 심리로 불안마케팅의 낚싯줄을 덥석 물게 된다. 선행학습은 학교수업에 흥미를 잃을 수 있으니 자제하는 게 좋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아이는 공부에 흥미가 없는데 부모가 윽박질러 보낸다고 공부가 제대로 될 리 없다. 학교에 들어간 뒤 아이가 소질이 있는 분야를 찾아 가르치는 방법은 권장할만하다. 대입을 앞둔 고등학생의 경우 취약한 과목 중심으로 사교육을 통해 보충하는 것은 이해가 간다. 직업 환경이 변하는 미래사회에 대비한 부모들의 패러다임 변화가 절실하다.
최근 교육부와 한국인터넷광고재단이 공동으로 서울의 학원 밀집 지역의 입시와 보습학원을 점검한 결과 자유학기제를 이용한 광고와 선행학습을 부추기는 불안마케팅 광고를 한 학원을 무더기로 적발했다고 한다. ‘중1 성적이 대입을 좌우한다! 그러나 중1 자유학기제라 자기 성적을 모른다’, ‘자유학기제는 자유가 아니다’, ‘자유라는 말에 속아 1년을 헛되게 보내지 말자’ 등 자유학기제 기간에 지필고사가 없다는 점을 악용하여 불안감을 부추기는 광고를 했다는 것이다.
자유학기제는 지난해부터 전국 중학교에서 전면 시행되고 있다. 한 학기 동안 시험부담 없이 자신의 꿈과 끼를 찾는 진로탐색 기회를 가지게 한다는 취지다. 필자도 미디어 강사로 자유학기제 수업을 진행했지만 실효성에 의구심을 갖는다. 학부모 입장에서는 시험이 없으니 공부를 제대로 할지 불안하다. 그 심리를 교묘하게 파고든 것이 학원 불안마케팅이다.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광고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중학교 교육과정을 운영하거나, 중학생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운영한다는 내용이다. 강좌는 ‘초등영어’인데 학습 수준은 ‘고등학교 3학년∼수능 이상’으로 표시한 경우도 있다. 학부모들은 불안과 경쟁 심리를 자극한 광고에 흔들리기 십상이다.
학원 한쪽에서는 사교육과 선행학습을 부추기고 또 다른 학원에서는 선행학습의 부작용을 교정하고 있다. 우리 사회 사교육의 웃지 못할 현상이다. ‘키즈 스피치’ 학원에서는 화법(話法)을 가르치는 게 아니라 우리말 발음이나 어순을 교정시킨다고 한다. 영어유치원과 해외연수 등 영어를 자주 쓰는 환경에 노출되면서 정작 우리말을 제대로 못 하는 아이들이 등록한다.
"엄마, 나 먹었어. 밥을" 영어식 어순에 “지금 time 몇 시야” 영어 단어를 섞어 쓰는 게 예사라고 한다. 수업을 “슈업”으로, 라면을 “롸면”으로 발음한다니 모국어도 제대로 모르면서 영어를 배워 어쩌자는 것인가.
부모들은 지나친 사교육이 부적절하다는 것은 알고 있어도 “내 아이만 안 시키면 어쩌나” 불안 심리로 불안마케팅의 낚싯줄을 덥석 물게 된다. 선행학습은 학교수업에 흥미를 잃을 수 있으니 자제하는 게 좋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아이는 공부에 흥미가 없는데 부모가 윽박질러 보낸다고 공부가 제대로 될 리 없다. 학교에 들어간 뒤 아이가 소질이 있는 분야를 찾아 가르치는 방법은 권장할만하다. 대입을 앞둔 고등학생의 경우 취약한 과목 중심으로 사교육을 통해 보충하는 것은 이해가 간다. 직업 환경이 변하는 미래사회에 대비한 부모들의 패러다임 변화가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