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너는 누구냐
봄, 너는 누구냐
by 김재은 대표 2016.03.02
바람이 세차게 분다. 잔설이 녹고 봄꽃 꽃망울에 생기가 돋을 무렵의 봄바람은 늘 그랬다. 떠나기 싫은 겨울의 심술이나 훼방 같다고 할지 모르지만, 겨울은 당신처럼 소인배가 아니다. 다만 떠나는 자의 흔적일 뿐이다. 배가 파도를 남기고 떠나듯이. 입춘, 우수가 지나가고 경칩이 저만치 보인다. 그냥 겨울만 계속될 것 같았는데 어김없이 다가오는 봄이 그저 신기하다.
나의 봄의 전령은 뭐니뭐니해도 매화이다. 언제부터인가 그 전령, 매화아가씨를 설 무렵 통도사에서 만난다. 설에 처가인 양산에 가면 언제나 통도사에 들르게 되고 거기서 햇볕에 고개를 살며시 내민 붉은 매화, 흰 매화와 반갑게 조우한다. 수줍은 듯하면서도 어쩜 그리 당당한지.
겨울이 한창일 때 봄이 오면 묻고 싶었다.혹한의 겨울에 너는 어디서 무엇을 하며 지내는지. 아니 살아 숨쉬고는 있는지. 그러다가 이내 내 나름의 작은 결론에 이른다.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언뜻 보면 그냥 거기에 그대로 있는 것 같지만 아주 작은 높낮이만 있어도 끝내 흘러간다. 아마 겨울이 가고 봄이 오는 것도 그러지 않을까. 계절에도 흐름의 높낮이가 있어 끝내 그렇게 오고 가는 것이라고.
봄이 오면 겨우내 움츠러들었던 나 자신의 모습이 보인다. 자신을 지키려 자신의 몸을 똘똘 말아 동그란 모양을 하고 있던 벌레가 안도하며 몸을 펴듯이 말이다.
그런데 내 모습을 물끄러미 바라보니 그냥 그대로 있지 못하고 안절부절못하는 게 보인다. 멋진 자신이 뭐가 못마땅한지 불안한 모습을 하고 누가 볼까 봐 주변을 두리번거린다. 한마디로 잘 보이려 하고, 잘 못 보이기를 피하려 가만히 있지를 못한다. 그러다 보니 사람들의 시선에 따라 감정이 춤을 춘다. 당당함은 저만치 물러난 지 오래다.
왜 그럴까. 왜 그리도 눈치를 보며 살아가는 것일까.
뚜렷한 이유가 있는 것도 아니다. 자신도 모르게 그렇게 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늘 불편하고 조마조마하고 개운하지가 않다. 자유로운 나 대신 속박의 줄에 매달린 내가 덩그러니 놓여있는 것이다.
지천명이 시작된 지 오래인데 이제야 내 모습의 실상을 바라본다. 늦었지만 얼마나 다행스러운지 모르겠다.‘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못 본 그 꽃’, 고은 선생의 시처럼 내려갈 때라도 보았으니.
그동안 눈치 보며, 예의를 차리고 형식에 얽매이며 사느라 소중한 나를 놓치고 살았구나 생각하니 나 자신도 내 삶도 참으로 애달프다. 무엇에 견줄 필요 없이 그냥 그대로 자유로운 주인이었음을 깨닫는 이 순간이 참 편안하다. 무엇을 두려워하랴. 무엇을 망설이랴.
난 물이 흘러가듯이 자연스럽게 피어난 꽃이다. 봄꽃이다. 매화이고 산수유이며 개나리이고 진달래, 철쭉이다. 당당히 피어나고 때가 되면 진다. 그러니 내가 봄이고 봄이 나다. 겨울을 견뎌낸 우리들이다. 바람에 흔들릴지언정 끝내 자유를 찾아 나선 봄꽃이다.
나의 봄의 전령은 뭐니뭐니해도 매화이다. 언제부터인가 그 전령, 매화아가씨를 설 무렵 통도사에서 만난다. 설에 처가인 양산에 가면 언제나 통도사에 들르게 되고 거기서 햇볕에 고개를 살며시 내민 붉은 매화, 흰 매화와 반갑게 조우한다. 수줍은 듯하면서도 어쩜 그리 당당한지.
겨울이 한창일 때 봄이 오면 묻고 싶었다.혹한의 겨울에 너는 어디서 무엇을 하며 지내는지. 아니 살아 숨쉬고는 있는지. 그러다가 이내 내 나름의 작은 결론에 이른다.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언뜻 보면 그냥 거기에 그대로 있는 것 같지만 아주 작은 높낮이만 있어도 끝내 흘러간다. 아마 겨울이 가고 봄이 오는 것도 그러지 않을까. 계절에도 흐름의 높낮이가 있어 끝내 그렇게 오고 가는 것이라고.
봄이 오면 겨우내 움츠러들었던 나 자신의 모습이 보인다. 자신을 지키려 자신의 몸을 똘똘 말아 동그란 모양을 하고 있던 벌레가 안도하며 몸을 펴듯이 말이다.
그런데 내 모습을 물끄러미 바라보니 그냥 그대로 있지 못하고 안절부절못하는 게 보인다. 멋진 자신이 뭐가 못마땅한지 불안한 모습을 하고 누가 볼까 봐 주변을 두리번거린다. 한마디로 잘 보이려 하고, 잘 못 보이기를 피하려 가만히 있지를 못한다. 그러다 보니 사람들의 시선에 따라 감정이 춤을 춘다. 당당함은 저만치 물러난 지 오래다.
왜 그럴까. 왜 그리도 눈치를 보며 살아가는 것일까.
뚜렷한 이유가 있는 것도 아니다. 자신도 모르게 그렇게 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늘 불편하고 조마조마하고 개운하지가 않다. 자유로운 나 대신 속박의 줄에 매달린 내가 덩그러니 놓여있는 것이다.
지천명이 시작된 지 오래인데 이제야 내 모습의 실상을 바라본다. 늦었지만 얼마나 다행스러운지 모르겠다.‘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못 본 그 꽃’, 고은 선생의 시처럼 내려갈 때라도 보았으니.
그동안 눈치 보며, 예의를 차리고 형식에 얽매이며 사느라 소중한 나를 놓치고 살았구나 생각하니 나 자신도 내 삶도 참으로 애달프다. 무엇에 견줄 필요 없이 그냥 그대로 자유로운 주인이었음을 깨닫는 이 순간이 참 편안하다. 무엇을 두려워하랴. 무엇을 망설이랴.
난 물이 흘러가듯이 자연스럽게 피어난 꽃이다. 봄꽃이다. 매화이고 산수유이며 개나리이고 진달래, 철쭉이다. 당당히 피어나고 때가 되면 진다. 그러니 내가 봄이고 봄이 나다. 겨울을 견뎌낸 우리들이다. 바람에 흔들릴지언정 끝내 자유를 찾아 나선 봄꽃이다.